Garden Remodeling Design - 하늘을 담은 주택 정원
ㅣGarden Remodeling Design - 하늘을 담은 주택 정원
집과 어울리지 않고 수목과 잔디도 제 몫을 못했던 정원. 건축주는 리모델링을 결심하고 차고와 텃밭, 온실, 그리고 어디서든 앉아 쉴 수 있는 마당이 어우러진 멋진 가든을 얻었다.
처음 정원 디자인을 의뢰받고 집을 방문했을 때, 건물의 원형 패턴이 인상적이었다. 건축주는 이 집을 짓게 된 이유도 그 원의 디자인에 마음이 끌렸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에 착안해 사각형 땅에 원을 그리는 느낌으로 정원 디자인 콘셉트를 잡았다. ‘지식(知識)은 보다 넓혀야 하고 인품(人品)은 더 원만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아 하늘과 땅을 상징하는 원 구성을 땅의 상징성 위에 담았다. 네모는 전후좌우 그 어느 측으로도 기울지 않는 방정(方正)함을 뜻하는 것으로, 흐트러짐 없는 정의의 태도를 이른다.
대지는 신도시 주택택지지구 내 위치했다. 기존의 마당은 공원이나 아파트 조경에 있을 법한 높은 키의 소나무, 맥을 못 추는 잔디와 정원과 텃밭이 있었다. 원래 뻘이었던 땅을 메워 택지로 조성한 곳이라 바닷물 기운이 남아 있었다. 마당 어딘가에는 버섯이 피고 이끼가 퍼지는 현상도 발견되었다. 주변 주택들을 보니 대부분 온양석으로 석축을 쌓아 새 흙을 채워 넣은 형태였다. 결국 이 집의 정원 리모델링의 시작은 ‘흙갈이’였다. 전체적으로 평지인 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담장 쪽으로 블록을 쌓아 화단을 높여 기존에 토사가 유출되던 문제점도 같이 잡았다. 건축주의 정원에 대한 깊은 애정으로 대지를 몇 차례 넓힌 탓에 디자인에만 1년 넘는 시간이 걸렸다. 그래서 더욱 애착이 가는 곳이다.
정원 리모델링 과정
1. 아파트 조경 같이 키 큰 소나무를 가운데 둔 기존 마당. 염분 있는 토양으로 생육이 변변치 않았다.
2. 정원을 정비하고 새로운 흙으로 땅을 돋워 잔디와 수목이 잘 자랄 수 있는 바탕을 만든다.
3. 그네와 석재 벤치 등 쉼의 공간과 어우러진 정원으로 리모델링한 모습
공놀이를 할 수 있는 마당과 파티를 할 수 있는 공간 텃밭, 사계절 야생화 화단, 그네, 자전거보관소, 퍼고라, 정자 같은 쉼터의 가제보가 작업 기간 중 포함되었다.
전체 공간이 길고 넓어 보이는 동시에, 정돈된 목가적 분위기를 가진다. 북돋운 화단 흙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철평석으로 원형 단을 올렸다.
정원에 박은 자연석과 더불어 컬러감이 돋보이는 교목과 관목들로 명자, 황금매자, 적엽매자, 황금무늬국수나무, 적엽국수나무. 둥근주목, 홍자단, 백자단, 목단 등을 심었다. 수국과 델피늄, 패랭이 꼬리풀, 에린지움, 층꽃, 독일붓꽃 등도 있다.
우측의 기존 소나무가 너무 커 공원 같은 인상을 풍기는 반면, 좌측은 조형 소나무로 아늑하고 소담하게 꾸몄다. 여기에 붉은 바위취와 붉은 노루오줌이 하늘거리는 포인트가 되고, 정원에 박은 큰 돌들은 벤치같은 쉼터가 된다.
그네 퍼고라에는 좌우를 노랑과 분홍으로 나눠 장미를 태웠다. 가제보는 붉은 포인트 지붕과 평상 같은 마루를 두어 앉거나 눕기 편한 그늘 공간으로 만들었다.
건물과 떨어진 정원과 건물 바로 앞 정원의 풍경. 시간이 흘러 숲처럼 정원의 깊이가 생기는 시간을 기다려본다. 아름답게 드리워지는 수양벚이나 홍도화를 포인트로 하려던 꿈은 딱 맞는 크기와 모양을 못 만나 가지가 늘어지게 붉은 꽃을 피우는 병꽃으로 대신했다. 철이 지나 사진으로 담지 못해 아쉽지만, 이 정원에는 늘 새로운 꽃이 핀다.
자연스러운 멋이 풍기는 이 수반은 깊이가 얕아 수생식물보다는 개구리밥을 띄우거나 정원의 꽃과 꽃잎을 띄우는 용도로 적합하다. 이러한 물확들은 화단에 물을 주고자 고무호스를 끌고 다닐 때 경계 안으로 침범하지 못하게 하는 경계 역할도 한다. 이유 불문하고 새가 찾아와 물 먹는 모습이 눈에 보일 때가 가장 이쁘다.
1. 도면의 원형이 있는 부분. 집 전경에서 바라 본 모습이다.
2. 앞쪽은 블록 조적에 단조휀스
3, 4. 대문을 대지경계에서 들여 좌우에 미니 화단을 두었다. 밖에서 보는 풍경, 안에서 보는 풍경이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가장 큰 목적은 공적인 미관보다 심리적 완충지역으로 벨을 누를 때 안정감을 준다는 데 있다.
5. 양 측면은 블록 조적에 미측백 생울타리
1. 폴리 카보네이트 소재의 온실 속에는 정원용품과 관리기 등으로 채워질 예정이다. 이를 위해 온실과 같은 모양의 선반도 미리 설치해 두었다.
2. 목재휀스 울타리
3. 미측백 생울타리
다목적 퍼고라와 비닐하우스로 예정했던 온실은 조립식 제품으로 변경, 설치되었다.
양지 쪽에는 컬러의 대비감이 느껴지는 식재로 구성하였다. 은색 느낌의 꿩의비름, 은쑥, 아케밀라, 패랭이, 붉은잎의 휴체라, 톱풀, 와인크로버를 심었다.
음지 쪽에는 아스틸베, 관중, 무늬둥글레, 무늬호스타 등으로 꽃보다 잎의 형태와 잎의 컬러감으로 즐기는 식재 패턴이다.
텃밭 우측은 베리원으로 포도, 블루베리, 초코베리, 허브딸기, 딸기나무가 있고 아래에는 식용꽃밭, 허브꽃밭이 있다. 포도가 올라가는 트렐리스와 방울토마토, 고추 등을 묶어야 하는 지줏대와 오이, 오박, 더덕을 위한 터널형 트렐리스도 만들었다. 으아리, 여주, 수세미도 그 위에 올라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