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식당과 부엌 공간의 인테리어

식당과 부엌 공간의 인테리어

1. 식당(Dining room)

주택에서의 식당은 거실처럼 전체 가족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이다. 따라서 쾌적한 환경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거실, 부엌과 유기적 관계로 연결, 배치되어야 하며 독립된 동선을 가져야 한다.

 

1-1 식당의 기능

(1) 가족실로서의 기능 : 거실과 함께 가족공동의 단란한 장소이므로 거실-식당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주부의 가사작업공간 : 연속된 가사작업의 흐름을 위해 식당-부엌-가사실이 연결되는 것이 능률적이며 편리 하다.

 

1-2 식당의 규모와 유형

(1) 주택의 규모 및 손님의 절대 빈도가 클 경우 독립된 실로 마련한다.

(2) 규모가 작을 경우에는 거실과 식당을 겸하는 리빙다이닝(LD)형이 좋다.

(3) 거실, 식당, 부엌을 겸하는 리빙다이닝키친(LDK)의 유형으로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한다.

(4) 베란다, 테라스의 옥외 간이식사공간의 다이닝포치(dinning porch)를 활용한다.

(4) 식당의 규모는 식사하는 사람의 수에 따른 식탁의 크기와 형태, 의자 배치상태, 주변통로와 음식을 대접하기 위한 서비스 동선에 대한 여유공간 등에 의해 결정된다.

(4) 4~5인을 기준으로 한 식당의 표준크기는 9m2 정도이며 1인당 1.7~2.3m2 면적이 필요하다.

 

1-3 식당의 가구

(1) 식탁 : 1인당 식사를 하기 위한 크기는 가로 600mm, 세로 350mm 정도이다.

(2) 식탁의 종류 : 원형식탁, 직사각형 식탁, 정사각형, 카운터형 식탁, 익스텐션 테이블(extention table)

(3) 의자 : 의자의 좌판과 식탁의 높이 차이는 280mm~300mm 정도가 적절하다.

(4) 찬장 : 그릇류, 수저세트, 테이블 보, 소품 등을 수납하기 위한 장이나 장식적 , 디스플레이적 효과도 갖는다.

 

또한 식탁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테이블 보(table cloth)나 디쉬매트(dish mat)를 사용한다

의자의 경우 등받이가 높은 하이백의자(high-back chair)는 정식적이며 격식을 요하는 자리에 어울리며 일반적으로는 식탁의 높이와 같은 것을 사용한다.

팔걸이가 있는 의자는 식사를 오래하면서 이야기를 하거나 격식을 차리는 자리에 적합하며, 팔걸이가 있으면 없는 의자 보다 상석(上席)으로 간주한다.

 

 

 1-4 식당의 세부계획

(1) 조명계획 :

식당의 조명은 식탁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둘러앉은 사람을 우선하여 계획해야합니다

 

* 확산직부등 - 배광면적이 넓어 식당전체로 빛이 확산된다.

* 확산형 직부다운라이트 - 식탁 위를 구석구석 비추고 빛을 균일하게 퍼뜨린다.

* 다운라이트펜던트형 - 가장 많이 사용하며, 직부다운라이트나 스포트라이트는 식탁 위만 비추고 빟이 간한 방향성이 필요한 곳에 사용한다.

* 직부등과 식탁 위에 펜던트 조명을 설치며, 펜던트 조명의적절한 높이는 식탁 위 600mm 전후이다.

* 주의해야 할 점은 식사할 때 사람의 머리와 손등의 그림자가 식탁 면에 떨어져 어두워지지 않게 한다.

또한 펜던트의 광원이 백열등을 사용하므로 온도가 올라가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펜던트와 매입형 보조조명을 함께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색채계획 : 자극적인 색을 피하고 식욕을 돋울 수 있는 난색 계통의 오렌지, 핑크, 크림색, 베이지색이 무난 하다.

(3) 마감재료 : 색상이 밝고 따뜻한 질감으로 선정하고 바닥재료는 방습성, 방수성, 유지관리가 쉬운 재료가 좋 다. 일반적으로 바닥에는 목재 플로어링, 비닐계 시트, 타일, 대리석, 카페트 등이 사용되며 벽과 천장은 타일, 벽지, 목재 등으로 마감한다.

 

 

 

 

 

 

 

 

 

 

 

 

 

 

 

 

 

 

 

 

 

 

 

 

 

 

 

 

 

 

<그림> 식당의 규모

 

 

 

 

 

 

 

 

 

 

 

 

 

 

 

 

 

 

<그림> 식당공간의 필요치수

 

 

2. 부엌(Kitchen)

양식화된 부엌공간은 작업능률의 향상과 생활공간의 호가대로 단순한 작업공간이 아닌 쾌적한 생활공간의 위치 로 격상되어 계획에 있어 그 비중이 매우 커졌다. 따라서 부엌의 실내계획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전개된다.

∙작업동선의 최소화, 환기와 통풍시설, 전기, 수도 가스시설 등의 안전성, 합리적 수납계획, 식생활 패턴에 맞는 적절한 부엌의 유형, 다른 공간과의 동선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2-1 부엌의 위치 및 크기

(1) 햇빛이 잘 들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남동쪽)

(2) 식당, 마당, 가사실, 다용도실 등과 직접 연결시킨다.

(3) 일반적으로 주택면적의 8~10% 정도가 적당하다.

 

2-2 부엌의 유형

(1) 독립형 부엌 : 부엌이 일실로 독립된 형태이다. 주택의 규모가 크고 가족수가 많으며 손님도 많은 가정에 적합하다. 작업공간만으로 사용되므로 다른 유형에 비해 기능성, 청결감을 크게 할 수 있으나 음식의 운반이 불편하고 주부의 작업시 가족과 단절되기 쉽다.

 

 

 

 

 

 

 

 

 

 

 

 

 

 

<그림> 독립형 부엌

 

2) 반독립형 부엌 : 부엌이 인접한 거실이나 식사동간과 겸하는 리빙 키친(living kitchen), 다이닝 키친(dining kitchen), 리빙다이닝 키친(living dining kitchen) 형식으로 핵가족에 적합가호 작업동선이 짧으며 좁은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다. 해치도어, 칸막이, 커든 등으로 공간을 구획한다. 특히 환기설비에 유의해야 한다.

 

 

 

 

 

 

 

 

 

 

 

 

 

 

 

<그림> 반독립형 부엌

 

(3) 오픈 키친(open kitchen) : 반독립형 부엌과 같은 형식이나 칸막이와 같은 구획하는 시설물이 없이 완전히 개방된 형식이다. 단 차이, 낙은 수납장, 카운터 등으로 영역을 구분한다. 동선의 중복이 없고 공간활용을 극대 시킬 수 있으므로 원룸 시스템에서 많이 적용하고 있다. 오픈키친형태이므로 항상 청결해야 한다.

 

 

 

 

 

 

 

 

 

 

 

 

 

 

 

<그림> 오픈 키친

 

 

(4) 아일랜드 키친(island kitchen) : 별장주택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유형으로 취사용 작업대가 하나의 섬처럼 실 내에 설치되어 독특한 분위기를 형성한다.

 

 

 

 

 

 

 

 

 

 

 

 

 

 

 

<그림> 아일랜드 키친

 

(5) 키친네트(kitchennett) : 작업대의 길이가 2000mm 내외 정도인 간이 부엌이다. 사무실이나 독신용 아파트에 많이 쓰인다.

 

2-3 부엌의 동선과 규모

(1) 부엌은 움직임이 많고 장시간 사용하는 곳이므로 작업동선은 낭비가 없어야 하며, 짧고 간단 명료함이 기본 이다.

(2) 부엌은 가사작업구역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며 식당공간, 마당, 다용도실, 가사실 등과는 직접 연결한다.

(3) 부엌의 적정 규모는 작업대가 차지하는 면적, 부엌에서 움직이는데 필요한 공간, 식품, 조기 용구류 등을 수 납하는 장, 주택 전체의 규모, 가족의 수, 접객빈도, 식생활 패턴 등에 의해 결정한다.

 

2-4 작업대

작업대는 부엌에서 취사가 행해지는 곳으로 준비대-개수대-조리대-가열대-배선대 가 기능적이다.

- 준비대 : 조리에 앞서, 계량, 분류, 기록 등이 행해지는 작업대이다.

- 개수대 : 식품, 식기, 기구 등을 세척하는 작업대이다.

- 조리대 : 음식을 자르고 혼합하는 곳으로 조미료, 식기, 시품, 조리기구등이 위치한다.

- 가열대 : 식품을 끓이거나 구울 수 있는 레인지나 오븐등의 가열기가 놓인다.

- 배선대 : 조리된 음식을 담고 식탁으로 서비스하기 위힌 작업대이다

 

작업대의 배치에 의한 유형은 일렬형, 병렬형, L자형, ㄷ자형으로 나누어지며 각 유형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일렬형 : 작업대를 일렬로 한 벽면에 배치한 형태이다. 부엌의 폭이 좁은 경우나 공간의 여유가 없을 경우에 적용되며 총 길이는 3000mm을 넘지 않도록 한다.

(2) 병렬형 : 양쪽 벽면에 작업대를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형태이다. 동선이 짧아 효과적이나 돌아보는 동작이 많아 쉽게 피로해지므로 적절한 통로 폭을 취해야 한다. 작업통로는 최소 700mm이며 1000mm 전후가 적당하나 1200mm 이하가 되도록 한다.

(3) L자형 : 작업대를 인접한 양면에 L자형으로 배치하여 동선의 흐름이 자연스러운 형태이다. 꺾어진 중심에 섰 을 때 작업대의 배치가 양손의 동작범위 안에 들어와야 편리한 작업대 배치이다. 일반적으로 여유공간에 식탁 을 배치하면 다이닝 키친이 되므로 공간사용에 효과적이다.

(4) ㄷ자형 : 인접한 세 벽면에 작업대를 배치한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중앙에 개수대를 두고 좌우에 조리대, 가열 대를 배치한다. 가장 편리하고 능률적인 배치형태로 작업대의 통로 폭은 1200~1500mm 정도가 적당하다.

대규모의 부엌에서 많이 사용한다.

 

 

 

 

 

 

 

 

 

 

 

 

 

 

 

 

 

 

 

 

 

 

 

 

 

 

2-5 부엌의 세부계획

(1) 조명계획 : 전체조명과 작업대 위를 비추는 국부 조명이 필요하다. 광원이 시선안에 놓일 경우 차광판이 있는 조명기구를 사용하거나 선반의 앞판을 내려서 차광한다.

(2) 색채계획 : 피로감을 덜어주고 밝고 청결한 분위기를 형성하는 색채가 바람직하다. 바닥, 벽, 천장은 연한 동 색계로 계획하며 바닥과 천장은 안정감이 있도록 약간 어두운 색으로 처리하는 것이 좋다.

(3) 마감재료 : 바닥은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내수성, 내마모성이 있어야 하며 청소하기 용이해야 한다.

- 바닥재는 비닐계 시트, 목재 플로링, 아스 타일, 비닐 타일, 코르크 타일 등이 많이 사용된다.

- 벽은 내수성, 내화성, 내열성, 내유성이 강해야 하며 물로 청소가 가능해야 한다. 벽 재료로는 타일, 비닐 벽 지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 천장은 내화성, 내습성이 강한 알루미늄, 석면판, 금속판과 같은 재료가 적당하나 일반적으로 비닐벽지가 많 이 사용된다. 그리고 작업대는 스테인리스 스틸, 멜라민 수지판, 대리석 등으로 계획한다.

 

 

 

 

 

 

 

 

 

 

 

 

 

 

 

 

 

 

 

 

 

<그림> 작업대의 조명방법

 

 

 

 

 

 

 

 

 

관련
​사이트
bottom of page